스프링 프로젝트를 다시 시작하려고 프로젝트를 생성했는데, 2.x 버전의 생성이 지원 종료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Security나 Querydsl 등의 적용 방법에 차이가 생겼고, 이러한 변화를 정리하여 기본 프로젝트를 만들어두고자 한다.
프로젝트 진행 환경
- JAVA 17(Azul Zulu version 17.0.11)
- SpringBoot 3.3.0
- MySQL
- IntelliJ
- Mac
프로젝트 생성
프로젝트 생성은 start.spring.io를 이용한다.
Gradle를 이용할 설정을 할 것이기 때문에 Gradle을 선택하고 사용할 언어와 버전을 선택한다.
Group은 보통 회사, 학교 등을 적지만 혼자 공부하는 용도이기 때문에 원하는대로 작성을 하였다.
오른쪽에서는 의존성을 추가할 수 있다. 나중에 추가할 수도 있기때문에 지금은 `SpringWeb`만 있어도 되지만 후에 넣게 될 롬복과 시큐리티, JPA, MySQL 등의 의존성을 미리 추가해두었다.
하단에 GENERATE를 누르면 프로젝트를 다운받을 수 있다.
압축을 풀고 인텔리제이 등의 IDE에서 프로젝트를 열면된다.
인텔리제이에서 프로젝트 폴더를 열어도 되지만 `build.gradle`을 통해 프로젝트를 열 수 있다.
`build.gradle`을 통해 오픈을 누르면 이렇게 프로젝트로 열것인지 물어보는데 이때 프로젝트로 오픈하면 된다.
프로젝트를 오픈하고 간혹 다른프로젝트를 진행했었을 경우 아래와 같이 버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ject Structure에 들어가 SDK와 Language level을 프로젝트 버전과 맞춰주도록 하자
그래도 버전 문제가 발생한다면 인텔리제이 설정에서 gradle을 검색하고 Gradle JVM을 확인하여 프로젝트 버전과 맞춰준다.
버전에 문제가 없다면 프로젝트를 실행해본다.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위와 같이 콘솔창에 포트번호와 함께 Started 된 문장을 확인할 수 있다.
인터넷 창을 열어 http://localhost:8080/ (포트번호는 다를 수 있다.)로 접속했을 때 위와 같이 에러 페이지가 뜬다면 프로젝트가 제대로 실행된 것이다.
개인적으로 application.properties파일 대신 yml 파일을 선호하기 때문에 파일 형식도 미리 바꾸어 둔다.
.gitignore
git에 연동을 한다면 지금 커밋을 해야하는데 커밋 전 gitignore을 설정한 뒤 커밋하자https://www.toptal.com/developers/gitignore#:~:text=gitignore,-.io
gitignore.io
Create useful .gitignore files for your project
www.toptal.com
직접 설정해도 되지만 위 사이트에서 사용 언어와 개발환경 등을 입력하면
이렇게 ignore파일을 작성해주니 통째로 복사하여 프로젝트 gitignore에 붙여넣기 하고 커밋하면 초기 프로젝트 생성 부분이 마무리 된다.